-
캠샤프트의 원리와 성능에 대해서 알아보자.CAR 2019. 4. 19. 13:41
캠샤프트는 내연기관에서 사용되는 흡배기 조절 부품이다. 크랭크와 감속비로 연결되어 있고 캠샤프트의 위치 및 개폐를 조절하는 방식에 따라 OHV, OHC방식으로 구별된다. 2행정 엔진중 가솔린 엔진이 없는데 2행정 디젤엔진에서 배기밸브를 개폐할때 캠샤프트가 쓰이게 된다. 캠샤프트 원리는 로브라는 뾰족한 부분을 직접 눌러서 작동시키거나 라커암의 밸브를 열고 닫는 형식이다. SOHC 방식은 캠샤프트에 설치된 흡배기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해 라커암을 사용해야 하며 DOHC 방식이 직동식을 이룰경우 소음의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설치각도에 따라 라커암을 거치게 되는데 밸브의 거동이 결정되면 엔진의 성능은 매우 달라진다. 로브가 높아질 수록 밸브의 열림양이 커지고 로브와 베이스원이 이루고 있는 각도에 따라 열려지는..
-
연료전지의 역사와 효율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보자.CAR 2019. 4. 17. 18:32
연료전지는 군사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용되었던 부품이다. 교통분야에도 적용되고 있지만 성과는 미흡하다. 실용적인 연료전지는 아폴로시절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미국이나 일본에서 실용화가 시도되었다. 1960년대 개발이 시작되었으나 수명문제로 논란이 거셌다. 보일러의 수명은 10년이상이지만 연료전지의 경우 길어도 5년이었다. 연료전지는 예열이 필요한 부분이 있어 건물용이나 발전용으로 사용되었고 대형 연료전지의 경우 하루이상을 예열해야하는 문제도 발생했다. 국내의 연료전지는 실용화 하려고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삼성전자에서도 노트북에 사용될 연료전지를 개발하여 뉴스에서 보도하기도 했는데 삼성전자는 연료전지 사업에서 결국 물러섰다. 지식경제부 주관에서는 90억을 사업비용으로 투자하여 연료전지 타운을 만든다는..
-
과급기의 작동방식과 역사를 알아보자.CAR 2019. 4. 17. 15:50
과급기의 역사는 1860년대 시작되었다. 이때 왕복엔진이 사용되지 않고 과급기를 사용했다. 최초 내연기관이 시작된것은 과급기를 개발한 계기라고 할 수 있다. 독일에서 엔진이나 자동차 개발을할떄 고틀리에프 다임러가 프랑스에서 원심식 압축기를 통해 과급기를 만들었다. 경주용 차량에 주로 쓰이게 되었고 가솔린 터보차져는 1960년대 올즈모빌이 커틀라스에 적용하고 쉐보레 코르베어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1978년에는 사브99순으로 채용되었고 이후 디젤은 38년에 적용되었다고 한다. 슈퍼차져는 오래전부터 사용되었는데 연료시스템 기술력이 부족하여 가솔린 엔진에만 슈퍼차져를 사용하게 된다. 과급기 작동방식은 공기압축기를 이용한다. 산소의 양이 많아지면 연소효율이 높아지는데 출력을 높일때 연료소비를 줄이게 된다. 연비는..
-
4행정기관의 작동방식에 대해 알아보자.CAR 2019. 4. 17. 15:08
4행정 기관은 내연기관의 한가지 방식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4행정 기관은 크랭크 축이 한번 회절할때 사이클이 끝날때까지 작동하는 2행정 엔진과는 다르다. 크랭크축이 두번 회전할때 흡입과 압축, 폭발, 배기의 4행정을 진행하며 1사이클을 완료하게 된다. 이것이 4행정 엔진의 작동방식이라 할 수 있다. 4행정 엔진이 1사이클을 완료하려면 크랭크축이 두번 회전해야하고 캠축이 한번 회전해야한다. 흡기밸브나 배기밸브는 1회 열리는 방식이다. 4행정 엔진의 작동순서는 흡입으로 시작하여 압축을 거쳐 폭발, 배기로 순으로 진행된다. 이것은 DOHC엔진의 형태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두개의 캠축이 실린더 헤드에 위치하여 흡입을 진행하는데 가장 처음 구동되는 방식으로 피스톤이 위에서 아래로 움직인다. ..
-
크리스티 현가장치의 역사와 문제점을 살펴보자.CAR 2019. 3. 29. 18:36
크리스티 현가장치는 미국 엔지니어 월터 크리스티가 개발한 장치이다.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장치이다. 기존의 스프링과 다른 성능을 보여주어 뛰어난 장치로 인정받는다. 장거리 운행을 가능하게 하고 높은 속력또한 크리스티 현가장치의 장점이다. 크리스티는 물자 수송을 파괴하는 경전차의 활용에 주로 거론되었다. 하지만 1920년대 완충능력의 한계를 파악하고 장거리 운행에 제약이 생겼다. 크리스티는 스프링을 수직 이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를 지속했지만 운동을 수평으로 바꾸지 못했다. 이후 밸 크랭크를 고안하여 기동륜을 수직으로 이동시켰고 파이프를 여러개 올려 벨 크랭크 방향을 뒤쪽으로 돌리기도 했다. 스프링은 차체 내부에 따라 배치를했는데 현실적으로 성능의 개선에서는 뒤떨어졌다. 결과적으로 ..
-
볼보의 역사를 파헤쳐보자.CAR 2019. 3. 29. 15:28
볼보는 스웨덴사의 대표적인 안전한 자동차 브랜드다. 1927년 4월 14일에 설립이 되었고 아사르 가브리엘손과 구스타프 라르손이 만들었다. 본사는 스웨덴 베스트라예탈란드 주 예테보리에 있고 현재는 지리자동차가 인수하여 중국기업이 되었다. 볼보는 한국인에게 고급 승용차로 여겨질 수 있다. 하지만 스웨덴에서는 볼보의 입지가 크지 않다. 화물차나 트럭과 같은 건설쪽 차량에 생산을 맡고 있기때문이다. 볼보는 1999년에 포드 자동차에 매각이 되었고 이때부터 볼보의 역사는 무너지기 시작한다. 볼보는 현재 중국의 지리자동차의 자회사로 속해있는데 기술은 그대로 가져가고 있다. 볼보 승용차는 미국에 매각되어 20년을 보냈으며 중국에는 아직 9년밖에 되지 않았다. 하지만 본사는 여전히 스웨덴에 있다. 볼보는 최근 S90..
-
휠 얼라인먼트의 개념을 재정립해보자.CAR 2019. 3. 29. 13:41
얼라인먼트는 자동차의 바퀴 위치나 방향, 밸런스를 조절해주는 부품이라고 할 수 있다. 밸런스를 올바르게 유지하지 못하면 정렬상태가 되지 않아 운전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정렬상태를 정상적으로 돌려야 주행시 불안정한 경험을 하지 않는다. 휠 얼라이먼트가 제대로된 위치에 있지 않으면 타이어의 마모를 일으키고 휠 밸런스가 무너져 바퀴가 회전할때 마다 더 많은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은 웨이트를 부착해도 전혀 관계가 없다. 일반적으로 서스펜션을 이용하여 타이로드나 클럽을 재조정 하게 된다. 하지만 부품이 마모가 되거나 녹이 슬면 결국 교체를 해야하는 상황이 온다. 휠 얼라인먼트는 중고차에서 두드러지지만 신차에서도 결함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현대 코나에서도 발생한 사례가 있다. 신차인데도..
-
애스턴 마틴의 특징은 무엇일까CAR 2019. 3. 29. 11:53
럭셔리카의 대명사인 애스턴 마틴은 페라리나 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급차로 분류된다. 애스턴 마틴은 정통 스포츠카로 운동성능이 매우 뛰어나다. 다른 경쟁 모델의 성능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뛰어난 정도는 아니지만 GT카로서는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애스턴 마틴은 시속 350km/h를 넘는다. 이러한 성능은 편암함을 멀리하여 만들어졌는데 벤틀리와 마세라티의 차량을 비교하면 좋은 차량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애스턴 마틴은 원래 잘 달리는 차량을 만드는 것이 목적도 아니고 그러한 차량을 만드는 회사가 아니다. 단순히 전통 투어러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DB5 모델과 DB7은 차량의 무게가 가장 큰 형태를 이루며 가장 아름답다고 표현한다. 당시 나치 브랜드로 충성파가 생겼지만 차량의 평가가 좋지 않아 판매량에서는 저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