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터스 엘란의 역사와 개발 배경의 진실CAR 2019. 3. 28. 16:27
로터스 엘란은 1세대, 2세대, 3세대까지 진출하게 되었는데 1962년에 시작되어 1975년에 1세대가 마감되었고 2세대는 1989년에 시작되고 1995년에 중단되었다. 로터스엘란은 영국의 자동차 제조사에서 생산한 로드스터이다. 1세대는 경량화된 로드스터로 4번에 걸쳐 만들게 되었다. 켄트엔진을 개량하여 트윈캠 엔진과 백본 프레임,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디와 같은 기술이 합쳐져 있다. 경량 로드스터는 새로운 기준점을 제시하였으며 이후 로드스터 모델들은 로터스 엘란을 통해 만들게 되었다. 로터스 엘란은 클래식카로 현재 시세로 5천만원에 가깝다. 클래식카는 오래되었지만 실용성보다는 희소성에 가까워 차량의 수리비를 그대로 부르는것이 차값이라고 할 수 있다. 2세대는 GM의 산하에 들어가면서 컴포넌트를 사용하게 되..
-
하이브리드의 단점을 현실적으로 파악해보자.CAR 2019. 3. 28. 14:28
하이브리드의 단점은 단연 가격을 예로 들 수 있다. 현실적으로 동급 대비 차량에 비해 매우 높은 가격정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게다가 구조도 복잡하고 장치를 줄이는 방법도 현재로서는 제기되고 있지 않다. 이로인해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은 보이지 않는다. 가격은 소비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지표가되고 최고의 단점이 될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가격이 최고의 장점이 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보통 동급 차량에 비해 2배가량 혹은 20%이상 비싸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전기모터가 추가로 장착되고 추가부속품도 들어가기 때문에 중량이 무겁다. 중량이 무거우면 연비는 실제로 높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원래 무게를 줄이는것이 고효율의 연비를 만들어내는 것인데 기술의 발달로 이러한 부분은 개선되고 있지만 아직..
-
자동변속기의 역사는 언제부터 시작될까CAR 2019. 3. 28. 13:18
변속장치는 1930년대 말에 시작되었다. 미국의 GM브랜드는 2004년에 올즈모빌이 개발한 하이드라매틱으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때 자동기어가 등장했다. 2~3단의 기어를 장착하였고 순서도 현재와 매우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다. 미국차들은 컬럼식 자동변속기를 많이 장착했는데 2005년부터 메르세데스 벤츠가 컬럼식 자동변속기를 장착하면서 많이 알려지게 되었다. S클래스에 적용된 컬럼식 자동변속기는 핸들 컬럼식 변속기와 다르다. 클러치 페달이 없는것이 특징이고 D레인지가 없다. 위, 아래로 레버를 움직여 기어를 직접 선택해야 하는 방식이다. 칼럼 시프트식 자동변속기도 페달이 있었으며 D레인지 밑에 3단, 2단, 1단 형태로 변환할 수 있는 장치이다. 과도기 이후 자동변속기는 기어 변경하는 방식이 달..
-
오일교환은 언제 어떻게 이루어지나.CAR 2019. 3. 27. 18:09
엔진오일은 교환 시기에 따라 성능이 달라진다. 차량의 종류나 운전자의 습관에 따라 교환시기가 달라지는데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가혹조건으로 교환주기를 권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5,000~10,000km 운행을하고 교체를 하라고 한다. 또한 3개월에서 6개월단위로 교체를 권고한다. 일반 조건이라면 윤활유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주기와 같은데 보통 2배에 가까운 조건이다. 이렇게 되면 운행거리가 짧아도 엔진오일이 변질될 수 있어 빠른 시기에 교체를 권장한다고 한다. 과거에는 엔진오일의 품질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교체주기는 더욱 짧았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는 엔진오일의 품질이 고품질로 올라가 교환주기가 어느정도 길어졌다. 엔진오일 교환은 정비소에서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정비작업으로 가장 공임비가 저렴하다. 엔진오..
-
엔진오일의 규격은 가솔린 엔진으로 시작된다.CAR 2019. 3. 27. 14:29
가솔린 엔진이 사용되던 시점에서 엔진오일은 더욱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디젤엔진도 유럽제 가솔린 엔진과 겸해서 사용되는데 엔진오일은 ACEA규격을 사용한다. 상용 디젤엔진의 경우 API, ACEA 규격을 사용하는데 오토바이는 API 규격외에도 JASO구격을 사용하기도 한다. API규격은 가솔린 엔진에 많이 사용되며 디젤 엔진용으로는 CJ-4를 사용한다고 한다. 첨가제가 들어가 친환경적인 요소와 효율성에서 뛰어나 품질면에서는 자랑할만한 성능 지녔다. 가솔린 엔진의 규격을 보면 SA부터 SH까지 나와있는에 현재는 폐지된 상태이다. 현재 엔진오일의 규격은 SJ로 시작하여 SN PLUS까지 해당된다. 직분사엔진은 LSPI가 사용되며 내구성 문제가 제기되어 엔진오일 규격을 제정하지 않고 SN PLUS규격이 적용되..
-
엔진오일의 개념에 대해서 정리해보자.CAR 2019. 3. 27. 13:08
엔진오일을 알기위해선 목적과 분류에 따른 방식을 알아야한다. 엔진의 원활한 작동을 목적으로 하는 기름으로 윤활유의 일종이다. 자동차의 윤활유는 쉽게 접할 수 있는 엔진오일이 있다. 자동차 유지관리에서 매우 중요하며 엔진오일은 4륜 자동차에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2륜자동차나 기타엔진에도 들어가며 대표적으로 예초기에 사용되는것이 엔진오일이다. 소모품중 하나로 엔진오일은 자동창 넣지만 부품의 윤활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엔진에서는 1분에 피스톤을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되며 엔진 블럭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다. 피스톤은 실린더를 덜깍게되며 이러한 효율성은 차원을 넘어 엔진의 수명을 줄어들게 한다. 엔진오일은 실린더와 피스톤의 마찰을 줄여 수명을 연장시키고 부드럽게 만든다. ..